넷플릭스가 또 요금을 인상했습니다. '이제는 적응됐지?'라는 듯한 빈번한 가격 조정에, 사용자들의 반응은 분분합니다. 과연 이번엔 어떤 요금제가, 얼마로 오르게 된 걸까요?
가장 많이 이용되는 '베이직 요금제'와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가 인상되었고, 기존 사용자와 신규 사용자 적용 시점도 다릅니다. 헷갈리기 쉬운 넷플릭스 요금제 개편,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이 변화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당신의 구독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요금 인상 주요 내용
이번 인상 대상은 다음 두 가지 요금제입니다:
- 베이직 요금제: 9500원 → 12,000원
-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 5500원 → 7000원
이는 각각 2016년, 2022년 첫 출시 이후 최초 인상입니다.
☑ 기존 사용자: 결제 주기에 따라 순차 적용
☑ 신규 가입자: 5월 9일부터 인상 가격 즉시 적용
요금제별 비교 표 (2025년 5월 기준)
요금제 | 이전 요금 | 변경 요금 | 화질 | 동시 시청 |
---|---|---|---|---|
광고형 스탠다드 | 5,500원 | 7,000원 | HD | 1명 |
베이직 | 9,500원 | 12,000원 | HD | 1명 |
스탠다드 | 13,500원 (변동 없음) | Full HD | 2명 | |
프리미엄 | 17,000원 (변동 없음) | 4K UHD | 4명 |
요금 인상 외 주목할 변화
✅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을 통한 넷플릭스 연동 요금(4,900원)은 동결
✅ 통신사 요금제, 제휴 상품 등은 변경 없음
✅ 프리미엄/스탠다드 요금제는 이번 인상 대상에서 제외
넷플릭스는 "사용자 선택권 확대를 위해 다양한 파트너십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넷플릭스의 이번 요금 인상은 ‘콘텐츠 품질’을 이유로 한 전략적인 가격 조정입니다.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죠.
혹시 당신도 넷플릭스를 계속 유지할지, 다른 OTT로 옮길지를 고민 중이라면, 지금이 요금제 점검의 최적 타이밍일지도 모릅니다.
✔ 광고형 요금제 활용, ✔ 네이버+ 연동 혜택, ✔ 가족 공유 플랜 등으로 스마트하게 구독해보세요!
OTT 요금 비교표 (2025년 기준)
OTT 서비스 | 요금제 | 월 이용료 | 화질 | 동시 시청 인원 | 특징 |
---|---|---|---|---|---|
넷플릭스 | 광고형 스탠다드 | 7,000원 | HD | 1명 | 광고 포함, 가장 저렴 |
베이직 | 12,000원 | HD | 1명 | 광고 없음, 기본 요금제 | |
스탠다드 | 13,500원 | Full HD | 2명 | 가장 인기 많은 요금제 | |
프리미엄 | 17,000원 | 4K UHD | 4명 | 최고 화질 & 다인 이용 | |
디즈니+ | 베이직(광고형) | 7,900원 | Full HD | 2명 | 광고 포함, 가성비 |
프리미엄 | 11,900원 | 4K UHD | 4명 | 광고 없음, 오프라인 저장 가능 | |
웨이브 | 스탠다드 | 9,500원 | Full HD | 2명 | KBS·MBC·SBS 실시간 시청 가능 |
티빙 | 베이직 | 9,900원 | Full HD | 1명 | tvN, JTBC 등 인기 예능 강세 |
쿠팡플레이 | 단일 요금제 | 4,990원 | Full HD | 1명 | 쿠팡 와우 멤버십 포함 |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부터 지원내용까지 총정리 (0) | 2025.05.12 |
---|---|
2025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5.12 |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금지 관련 규정 강화 (0) | 2025.03.01 |
태학산자연휴양림 가족바비큐장 재개장 소식 (0) | 2025.02.26 |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위한 필수 가이드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