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공부8

형설지공 유래와 뜻은? 형설지공 유래와 뜻은? 동진시대 차윤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학문을 좋아하고 배우기를 게을리하지 않았던 차윤은 집안이 가난하여 밤에는 공부하기 어려웠다. 집이 가난하니 기름을 사서 불을 밝혀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기름값을 벌기 위해 낮에 일을 하면 저녁에 조금 밖에 책을 읽을 수 없었다. 환한 대낮에 책을 많이 읽어야 하는데 일을 하느라 책을 많이 못봐 늘 안타까운 마음이었다. 반딧불이로 공부 하루는 차윤이 일을 끝내고 집으로 가는데 하늘에 반딧불이가 환하게 날아다니는 것을 보았다. 옳다구나 하며 차윤은 반딧불이를 잔뜩 잡아서 명주 주머니에 넣었다. 그래서 반딧불이의 불빛으로 밤에도 공부하고 낮에도 공부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열심히 공부한 차윤은 나중에 상서랑이란 높은 벼슬자리에 올.. 2023. 4. 23.
읍참마속 뜻과 유래 읍참마속 뜻과 유래 제갈공명은 위나라와 전투에서 계속 이기면서 북진을 한다. 기산 땅에서 사마중달이 지휘하는 20만 대군과 맞닥뜨린다. 사마중달은 제갈공명 군을 방어하기 위해 부채꼴 모양의 진을 쳐놓고 전투를 대비한다. 이에 제갈공명은 사마중달의 방어선을 돌파할 계략을 짜놓는다. 그런데 제갈공명은 가정 땅을 걱정한다. 이곳이 바로 군량미 보급을 하는 요충지였기 때문에 이곳을 사마중달에 빼앗기지 않으려 대책을 고심한다. 이때 제갈공명을 찾아온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이었다. 마속은 제갈공명의 가장 친한 친구인 의 동생이었다. 나이가 어리지만 재주와 능력이 있어 제갈공명도 마속을 다른 사람들보다 아끼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 나이가 어리기에 사마중달을 대적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제갈공명은 생각하고 다른 사람으로 .. 2023. 4. 13.
할로윈 핼러윈 차이 Halloween을 우리나라 말로 적으면 할로윈인지 핼러윈인지 가끔 헷갈린다. 어디서는 할로윈이라고 썼는데, 다른 기사를 읽어보면 핼러윈이라고 써져 있어서 그 차이가 뭔지 알아보기로 한다. 핼러윈이 옳은 표현 정답부터 말하면 핼러윈이 옳은 표현이라고 한다. 영어 표기는 발음 기호를 기준으로 해서 핼러윈이 맞다고 한다. 그럼 할로윈은? 할로윈은 대중들이 많이 쓰고 있다. 핼러윈보다 더 많이 할로윈이라고 쓰는 것 같다. 사람들에게 널리 쓰이는 것을 관용적으로 인정하기도 한다. 그런데 아직 할로윈은 사람들에게 굳어진 관용적 낱말이 아니다. 그러므로 현재는 핼러윈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핼러윈 축제는 어디서 기원하는가? 아일랜드 켈트족은 삼하인 축제를 기원으로 한다. 켈트족은 사람이 죽었을 때 영혼은 1.. 2022. 10. 30.
청백리와 봉고파직의 뜻을 알아보자 청백리와 봉고파직의 뜻 옛날 임금님은 지방의 관리들이 제대로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지, 백성들을 괴롭히는 지방관이 없는지 알아보기 위해 암행어사를 보냈다. 암행어사는 왕의 밀명을 받고 각 고을에 파견되었다. 각 고을을 돌아다니면서 잘하는 관리가 있으면 청백리라고 상을 줬다. 하지만 백성들을 괴롭히던 탐관오리들은 봉고파직을 시켰다. 청백리 뜻 조선시대 훌륭한 관리들을 본받고 청렴결백한 관리들을 양성하고자 표창했던 제도이다. 고려 이전부터 있어왔던 제도인데 언제 실시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에 들어서 청백리의 제도화가 명확하게 이루어졌다. 암행어사가 청백리라고 상을 준것은 임금이 내린 청백리와는 차이가 있다. 임금이 내리는 청백리는 의정부에서 청렴결백한 관직자를 뽑아 임금에게 추천했다. 황희, 맹사성, .. 2022.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