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죄인들을 다스리던 극형의 하나로 사약이 있다. 망나니가 목을 치거나 거열형이 아니어서 부모님이 물려 주신 몸을 그대로 간직한 채 죽을 수 있는 형벌이었다. 당시 유교사회에서 부모님이 주신 몸 그대로 죽게 되므로 오히려 임금님께 감사해야 했다. 그래서 이거 먹고 죽어라 하는 죽을 사(死)가 아닌 임금님이 하사하였다는 하사할 사(賜)자를 쓴 사약이다. 즉 사약은 임금님이 하사한 약이다. 라는 뜻이다. 사약의 재료 사약을 어떻게 제조하였는지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알 수는 없다. 사약을 먹으면 열이 나고 피를 토하고 죽으니 초오, 부자, 비소(비상) 등을 원료로 해서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사약은 궁중의 약을 담당하던 내의원에서 만들었다. 사약을 죄인에게 가지고 가던 책임자는 금부도사였다. 연산군의 생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