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47 성균관 명륜당, 대성전, 그리고 과거시험 생원시 진사시 식년시 삼국시대에는 불교, 고려시대에도 불교,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유학이 나라를 이끈 근본 이념이었다. 유학을 공부한 사람들은 서당에서 천자문 소학 동몽선습 등을 공부하고, 향교나 서원을 거쳐, 한양의 성균관에 입학하여 입신양명을 꿈꿨다. 성리학과 신진사대부 고려 원나라 간섭기에 공민왕이 등극한다. 그는 그동안의 원나라 풍습을 없애고, 반원 개혁정치를 추구한다. 이때 지배세력을 권문세족이라고 부른다. 원나라와 결탁하여 권력을 휘둘렀던 사람들이다. 공민왕이 반원정책을 추진하자 이들은 공민왕을 암살하려고 했으나, 원나라 공주이자 공민왕의 부인인 노국공주의 도움으로 공민왕은 반원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다. 기철로 대표되는 반원 세력을 몰아내고 새로운 정치 이념인 성리학으로 무장한 신진사대부들을 지지한다. 성균관 입학,.. 2022. 4. 30. 교원의 근무 시간 ◈초중등 교원의 근무 시간은 8시간으로 하되, 점심 시간도 근무 시간에 포함된다. 그래서 9시부터 17시까지 근무하게 되지만,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30분 출근, 16시 30분 퇴근하면 총 근무시간이 8시간이 되므로 탄력적 근무가 가능하다. ◈탄력적 근무 시간 -하루 총 8시간의 근무시간을 확보한다. -소속 교직원의 의견 수렴을 통해 탄력적 근무를 실시할 수 있음 -개인별, 학년별, 일부 집단별 탄력적 근무는 불가함. 그러나 영양교사 등 식재료 검수 업무를 위해 매일 조기 출근할 경우 개인별 탄력적 근무가 가능함) ◈교원의 점심시간 -점심 시간에도 학생 급식지도, 생활지도 등을 하기 때문에 근무시간에 포함된다. -점심 시간에 학교 밖에서 식사할 경우 반드시 외출 등 복무처리를.. 2022. 4. 22. 전역과 제대의 뜻은? 남자들 군대 갔다 오면 전역했다. 또는 제대했다. 라고 거의 같은 뜻으로 이해를 한다. 그러나 엄밀하게 따지면 두 낱말은 서로 다르다.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1. 전역 남자들이 군대를 가기 위해 신체검사를 받은 후 현역 입영 대상자가 되면 훈련소에서 기초 군사 훈련을 받는다. 그리고 자대 배치되어 즐겁게(?) 군 생활을 하고 나면 전역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전역은 현역이 끝났을 때 사용하는 낱말이다. 2. 제대 전역 후에는 예비군에 편성되어 가끔 예비군 훈련과 동원 훈련까지 받는다. 요즘은 예비군 훈련도 현역 못지않게 빡세게 받는다고 한다. 이렇게 예비역까지 다 마친 사람에게 제대했다 라고 한다. 전역은 현역을 마쳤을 때, 즉 예비역이 되었을 때 사용하는 낱말이고, 제대는 현역을 마치고 예비역까지 마.. 2022. 3. 27. 윌슨 민족자결주의 영향의 3.1운동 유관순 우리는 흔히 3.1운동이 미국 대통령이 주장한 민족자결주의에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 민족은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가 아니더라도 스스로 독립을 하려는 의지가 강한 민족이었다. 그리고 윌슨 또한 약소 민족에게 희망을 주고자 민족자결주의를 주장한 것도 아니라고 한다.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란? 한 민족은 다른 민족이나 국가의 간섭을 받지 않고 각 민족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는 권리가 있다. 라는 생각이다. 1918년 1차 대전이 끝날 때 쯤 윌슨 대통령이 민족자결권에 대해 주창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1919년 승전국 대표들은 프랑스 파리에 모였다. 여기에서 윌슨은 1차 대전 패전국들이 가지고 있던 식민지를 처리하기 위해 민족 자결주의를 적용하려고 한 것이다. 패전국들의 식민지 국가들에게 너.. 2022. 3. 1.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