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7

6.25 한국전쟁 때 우리나라에 파병한 국가들 6.25 한국전쟁 때 우리나라에 파병한 국가들 6.25 한국 전쟁으로 생긴 이산가족들은 지금도 만나지 못하고 가슴에 가족을 묻고 살아간다. 이제 고령의 연세로 만날 가망성이 점차 희박해져가만 간다. 그래도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품어 본다. 그럼 동족상잔의 비극 6.25 전쟁 때 우리나라에 파병한 국가들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병력을 지원한 국가들 전투 병력을 지원하여 우리나라를 도와 실제로 전투에 참여한 국가들이다.미국 - 보병 7개 사단, 해병 1개 사단, 극동 함대, 미7함대 261척 군함과 선박, 극동공군 등 66개 대대영국-보병2개여단, 해병1개 특공대, 함정 17척캐나다 - 보병 1개 여단, 구축함 3척, 공군 1개 수송대대터키 - 보병 1개 여단호주-보병 3개 대대, 함정 4척, 1개 전.. 2020. 12. 29.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인조의 선택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인조의 선택​ 일본이 중국 명나라로 진출하기 위해 조선에 길을 빌려달라고 하며 임진왜란을 일으켰다. 7년간에 이어진 전쟁에 명나라는 조선을 돕는다는 명분아래 조선에 원군을 파견하였다. 이순신 장군의 뛰어난 전술, 의병들의 활약, 명의 원군 등으로 우리는 일본을 막아낼 수 있었다. 한반도가 전쟁의 소용돌이로 몸살을 앓을 때 만주에서는 여진족들이 강성해져 갔다. 그리고 나라 이름을 후금이라고 하고, 임진왜란이 끝난 후 명나라가 약해진 틈을 타서 명나라를 공격하게 된다. 광해군의 중립외교 이에 명은 조선에 원병을 청한다. 당시 왕은 광해군으로 명과 후금 사이에 중립외교를 실시한다. 하지만 명분을 중시하는 서인 세력들이 광해군을 내쫓고 인조를 옹립한다. 후금은 자신들과 좋은 관계였던 광해.. 2020. 12. 15.
학교폭력 업무에 대하여 학교폭력 업무에 대하여​ 일선 학교에서 학교폭력 업무는 사안 발생 시 복잡한 업무처리와 규정으로 교사들의 선호도가 낮은 업무이다. 학교 자체내에 학교폭력 사안을 조사하는 학교폭력전담기구가 있다. 학교폭력 전반에 걸쳐 관리하고 사안을 조사하여 향후 처리 방향을 심의한다. 학교자체 내에서 해결할 수도 있다. 다음의 4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자체 종결이 가능하다. 자체 종결이 가능할 경우1. 2주 이상의 상해진단이 아닌 경우2. 피해 복구가 원만하게 이뤄진 경우3. 지속적인 폭력이 아닌 경우4. 보복에 의한 폭력이 아닌 경우 자체 종결 요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로 넘겨 심의하고 징계범위를 정하게 된다. 가해자 피해자가 아닌 관련학생으로... 학교에서 학교폭력이 발생되면 우선 관련학생을 .. 2020. 11. 24.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이유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이유 미국이 도쿄나 교토 같은 대도시에 원폭을 투하하지 않고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떨어뜨렸을까? 세계 제2차대전 중 독일의 히틀러는 핵폭탄을 만들기 위해 연구를 했다. 미국은 이런 사실을 감지하고 독일보다 먼저 핵폭탄을 만들고자 했다. 이른바 맨해튼 프로젝트라고 불리웠는데 매우 비밀스럽게 연구하고 있었다. 오펜하이머 박사의 주도하에 1945년 7월 뉴멕시코에서 인류 최초로 원자폭탄 실험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저항 한편 일본은 1941년 진주만을 기습하여 미국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일본과의 싸움을 하며 조금씩 조금씩 일본을 압박해 나갔는데 일본이 끝까지 버티니 미군 사망자가 늘어날 수 밖에 없었다. 도쿄 대공습으로 상당한 피해를 입었지만 마지막 1명까지.. 2020.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