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66

교원의 근무 시간 ◈초중등 교원의 근무 시간은 8시간으로 하되, 점심 시간도 근무 시간에 포함된다. 그래서 9시부터 17시까지 근무하게 되지만,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30분 출근, 16시 30분 퇴근하면 총 근무시간이 8시간이 되므로 탄력적 근무가 가능하다. ◈탄력적 근무 시간 -하루 총 8시간의 근무시간을 확보한다. -소속 교직원의 의견 수렴을 통해 탄력적 근무를 실시할 수 있음 -개인별, 학년별, 일부 집단별 탄력적 근무는 불가함. 그러나 영양교사 등 식재료 검수 업무를 위해 매일 조기 출근할 경우 개인별 탄력적 근무가 가능함) ◈교원의 점심시간 -점심 시간에도 학생 급식지도, 생활지도 등을 하기 때문에 근무시간에 포함된다. -점심 시간에 학교 밖에서 식사할 경우 반드시 외출 등 복무처리를.. 2022. 4. 22.
전역과 제대의 뜻은? 남자들 군대 갔다 오면 전역했다. 또는 제대했다. 라고 거의 같은 뜻으로 이해를 한다. 그러나 엄밀하게 따지면 두 낱말은 서로 다르다.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1. 전역 남자들이 군대를 가기 위해 신체검사를 받은 후 현역 입영 대상자가 되면 훈련소에서 기초 군사 훈련을 받는다. 그리고 자대 배치되어 즐겁게(?) 군 생활을 하고 나면 전역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전역은 현역이 끝났을 때 사용하는 낱말이다. 2. 제대 전역 후에는 예비군에 편성되어 가끔 예비군 훈련과 동원 훈련까지 받는다. 요즘은 예비군 훈련도 현역 못지않게 빡세게 받는다고 한다. 이렇게 예비역까지 다 마친 사람에게 제대했다 라고 한다. 전역은 현역을 마쳤을 때, 즉 예비역이 되었을 때 사용하는 낱말이고, 제대는 현역을 마치고 예비역까지 마.. 2022. 3. 27.
윌슨 민족자결주의 영향의 3.1운동 유관순 우리는 흔히 3.1운동이 미국 대통령이 주장한 민족자결주의에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 민족은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가 아니더라도 스스로 독립을 하려는 의지가 강한 민족이었다. 그리고 윌슨 또한 약소 민족에게 희망을 주고자 민족자결주의를 주장한 것도 아니라고 한다.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란? 한 민족은 다른 민족이나 국가의 간섭을 받지 않고 각 민족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는 권리가 있다. 라는 생각이다. 1918년 1차 대전이 끝날 때 쯤 윌슨 대통령이 민족자결권에 대해 주창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1919년 승전국 대표들은 프랑스 파리에 모였다. 여기에서 윌슨은 1차 대전 패전국들이 가지고 있던 식민지를 처리하기 위해 민족 자결주의를 적용하려고 한 것이다. 패전국들의 식민지 국가들에게 너.. 2022. 3. 1.
가발 공장 YH무역 농성사건과 김경숙 가발 공장 YH무역 농성사건과 김경숙 김경숙은 초등학교 졸업 후 돈을 많이 준다는 서울로 상경하여 청량리 인근 공장에서 보조일을 한다. 그러다가 YH무역으로 직장을 옮긴다. 이곳에서 가발을 만드는데 열악한 노동환경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하지만 1달 일한 월급으로 고향에 계시는 어머니에게 생활비를 보낼 수 있어 고단한 공순이 생활을 이어갔다. 장용호 대표가 자신의 이름을 따서 YH무역을 세웠다. 처음에는 종업원이 10여명이었으나 사업이 날로 잘되어 5년만에 종업원 수는 3천여명으로 늘어난다. 가발 하나로 대기업 반열에 올랐으며 외화 획득에도 크게 기여하여 정부로부터 산업 훈장도 받는다. 그런데 가발 수출로 번 돈을 미국으로 빼돌리고 사업도 무리하게 확장하다보니 회사가 휘청거리게 되었다. 그래도 장용호는.. 2022.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