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66

우리가 잘 몰랐던 세종의 정책들 우리가 잘 몰랐던 세종의 정책들 초등학생부터 어른들까지 가장 훌륭한 왕을 이야기하라고 하면 대부분 세종대왕을 말한다. 그만큼 재위 기간 뛰어난 업적과 민생안정책, 그리고 특히 과학기술발전과 한글 창제는 세종대왕을 대왕 중의 대왕으로 생각하게 한다. 그런데 우리가 잘 몰랐던 세종의 정책들이 있다. 그게 바로 뭘까? 1. 사가독서제 젊은 문신들 중에서 업무능력을 더욱 신장시키고, 학문적 발전을 위해 휴가를 주며 책을 읽도록 한 정책이다. 현재 학습연구년제와 비슷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사가독서제는 조정에 나오지 않고 집에서 책을 읽고 연구하도록 한 정책이다. 그렇다면 봉급은 주었을까? 이분들도 먹고 살아야 하니 당연히 봉급이 지급되었다. 모든 경비를 국가가 지원하여 훌륭한 인재들이 일정기간 공부를 하고 .. 2022. 2. 20.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키루스의 어머니 만다네는 아들을 엄격하면서도 훌륭하게 가르쳤다. 키루스 또한 어머니 가르침을 따라 배우려는 욕구가 강했고 새로운 것을 탐구하고 노력했다. 어머니 만다네에게서 교육뿐만 아니라 예절, 정의 등도 배웠다. 작은 나라 왕이었던 키루스는 주변 국가들을 정복하며 페르시아 대제국을 건설했다. 하지만 페르시아제국은 그의 아들 대까지만 왕위에 올랐다. 엄격한 교육을 받지 못한 키루스의 두 아들 키루스의 아들들은 키루스가 받았던 훌륭하고 엄격한 교육을 받지 못했다. 넉넉하면서도 부족함 없이 자라난 두 아들은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이기적이고 거만했다. 누구도 키루스의 두 아들이 잘못된 행동을 해도 반대하지 않고 칭찬하도록 강요받았다. 이제 키루스가 죽고 키루스 큰아들 캄비세스가 페르.. 2022. 1. 22.
영조의 금주령, 실패로 끝나다. 영조의 금주령, 실패로 끝나다. 옛 임금들은 금주령을 시행하여 국가의 기틀을 바로 잡고 사회 기강을 세우고자 했다. 처음에는 술의 원료인 식량을 절약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으나, 이것과 더불어 사회 교화가 목적이 되기도 했다. 식량이 부족하면 술을 만들어 마시지 말라는 금주령이지만, 백성들의 음주 습관이 예법을 이탈하게 되므로 식량 절약에서 사회 교화 쪽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조선 역사상 금주령을 강조한 왕은 영조가 아닐까 생각된다. 영조 32년 1756년부터 조선 역사상 강력한 금주령을 내린다. 술은 사람을 미치게 하는 광약이므로 마시지 말라는 것이다. 술을 마시면 마음을 방탕하게 하고, 행동을 절제할 수 없다는 이유였다. 술을 빚어 마시다가 걸리면 사형까지 당했고, 한 집이 위반하면 다른 집도 처벌.. 2022. 1. 22.
2022학년도 전문대학 전문기술석사과정 인가발표 마이스터대 운영 시작 2022학년도 전문대학 전문기술석사과정 인가발표 마이스터대 운영 시작 교육부는 고숙련 전문기술인재를 양성하는 ‘마이스터대’ 시범사업을 운영 중인 8개 전문대학, 13개 과정에 대해 전문기술석사과정을 최종적으로 인가하였다. 이에 따라 2022학년도부터 고도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마이스터대 운영이 시작되어 고숙련 전문기술인력을 키우게 된다. 전문기술석사과정 인가 대학과 내용 1. 대림대 -미래자동차 -방송음향네트워크 -건축정보모델(BIM) 설비유지관리 -메카트로닉스시스템 -정보통신기술(ICT)융합안전공학 등 5개 과정이 인가되었다. 2. 동양미래대 -클라우드 컴퓨팅 과정(빅데이터, 차세대통신, 인공지능 분야와 연계) -실내건축 전시기획자(공간디자인 콘텐츠, 네트워크, 스토리텔링 분야 역량강화)등 2개 과정.. 2021. 12. 27.